안녕하세요. 미령입니다~!
일상에서 해오던 접종이 어떤 원리로 우리 몸에서 질병을 예방해 주는지 많이 궁금하셨죠?
오늘은 백신이 우리 몸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면역이란?
- 인체가 자신을 구성하는 고유 물질은 관용하면서 + 외부 물질은 제거하려는 능력을 의미
- 인체의 면역체계는 감염병의 원인인 병원체를 외부 물질로 인지하여 자신을 보호합니다.
▶ 면역은 획득 기전에 따라 2가지로 분류됩니다.
① 수동면역은
- 타인/동물에게서 이미 만들어진 항체를 투여받아 얻게 되는 면역
- 접종 즉시 효과가 나타나나,
그 효과는 일시적. 수개월이 지나면 소실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ex) 면역글로불린(IVIG), B형 간염, 파상풍, 수두, 공수병, RSV 접종
② 능동면역은
- ‘나’의 면역체계를 이용하여 방어 능력을 갖는 것!
- 수동면역에 비해 지속 기간이 길며 평생 면역도 가능합니다.
- 쉽게 말씀드리면,
질병을 일으키는 물질을 우리 몸에서 질병을 일으키지 않도록 약하게 만든 후
접종을 하게 되면 > 적절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고 그 과정을 몸이 기억하여
후에 자연적으로 감염되었을 때 그 기억을 활성화해 면역을 유발합니다
부스터 샷, 추가 접종은 또 뭘까?
예방접종 항목도 정말 많은데 한 번에 끝나지도 않으니... 병원에 자주 가야 하시죠? ㅠㅠ
귀찮고 힘들지만 해야 하는 이유! 지금 바로 알려드립니다.
우리 몸은 1차 면역반응과 2차 면역반응이 있습니다.
몸에 들어와 질병을 일으키는 항원. 쉬운 설명을 위해 ‘침입자’라고 부르겠습니다.
침입자에게 처음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적응 면역반응이 바로 1차 면역반응입니다.
이후 똑같은 침입자에게 두 번째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나타나는 면역반응을 2차 면역반응이라 합니다.
2차는 1차에 비해 대부분 신속하고 크게 나타나며, 특이항원을 제거하는 데 더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 예방 접종을 시행할 때 이러한 면역반응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초접종은 적절한 방어면역을 최단 시간 내에 획득하기 위해 시행하는 총괄적 접종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추가접종(booster)은 기초접종 후 얻어진 방어 면역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일정 기간 후에 다시 접종하는 거죠!
오늘은 백신의 원리와 기초접종, 부스터 샷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모든 내용은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의 예방접종지침서 제11판을 참고했습니다.
앞으로도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미령이의 정보창고로 오세요!
'예방접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시기를 놓치면 다시 맞아야 한다?! 예방접종 일정의 결정 원칙 완전 정복 (0) | 2025.01.26 |
---|---|
우리 아이 예방접종 바로 알고 접종하자! 예방접종 역사적 배경, 예방접종 원리 (0) | 2025.01.21 |